경승지와 유적지를 찾아71 추사 김정희 유배지 ↑秋史 謫居址(추사 적거지) ↑山房山(산방산) ◆ 일 자 : 2022. 11. 6. (일) ♣ 추사 김정희 유배지를 찾아가는 여정(旅程) 제주에서 꼭 가보고 싶은 곳이 있다면 산방산 정상이다. 언제든 제주에 다시 오게되면 산방산은 반드시 올라가볼 생각이었는데 전혀 뜻밖의 일이 생겨 어제 제주에 왔고 일요일인 오늘 모든일 제쳐두고 산방산을 찾기로 했다. 지난해 (2021. 10. 29) 산방산 남쪽 산방굴사 까지 갔을 때 산방산 입산금지(2012.1.1 ~ 2021. 12. 31) 표지판을 본적이 있어 입산금지 기간이 해제되었을 것이란 막연한 생각으로.... ↑출발 전 집에서 바라본 산방산마루 지금 머물고 있는 곳은 신화월드빌라스인데 이곳에서 산방산까지는 대략 10km정도 된다. 일요일어서 외손주와 함께 .. 2022. 11. 14. 서산 해미읍성(海美邑城) 해미읍성(海美邑城) 왜구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1416년(태종16)에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忠淸道兵馬節度使營)을 지금의 해미읍성 지리로 옮겨오면서 성을 쌓기 시작하여 1421년(세종3)에 완공된 영성(營城)으로 충청의 군사적 거점이었다. 1651년(효종2)에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옮겨가고 해미현 관아가 옮겨와 해미읍성이 되었다. 읍성에는 문무를 겸한 겸영장(兼營將)이 배치되어 충청도 5군영의 하나인 호서좌영(湖西左營)으로 내포지방 12개 군현의 군권까지 장악하는 호서지방의 행정중심 역할을 하였다. 영장(營將)은 도적이나 반란세력을 토벌하는 토포사(討捕使)의 임무까지 맡고 있었으므로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시기에 내포지역의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죽임을 당하는 순교의 역사적 .. 2022. 10. 23. 고창읍성(高敞邑城) 이틀전 낙안읍성에 갔었다. 낙안읍성,서산해미읍성, 고창읍성을 대한민국 3대 읍성이라 한다기에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고창읍성을 찾았고. 머지않아 해미읍성을 가 보려고 한다. ■ 탐방일자 : 2022. 10. 6 (목) ■ 탐방경로 : 북문에서 성벽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한바퀴 돌고 동헌, 객사, 풍화루 등 성내 관아건물들을 찾아본다. ↑입구 전경 고창읍성(高敞邑城) 고창읍의 남산이라고 하는 장대봉(將臺峰)의 등성이를 에워싸서 쌓은 성이다. 고창읍성을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그 근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백제 때 고창지역을 모양부리(毛良夫里)라고 불렀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한자 뜻이 전혀 달라 설명이 부족하다.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원년(1453년)에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축성한 성곽으로 호남 .. 2022. 10. 17. 순천만국가정원(順天灣國家庭園) 순천만국가정원은 동천을 사이에 두고 지구동문과 빛의서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네비가 안내해준 곳은 동문주차장이었다. (2022. 10. 6. 11:45) ↑지구동문 입구 순천만국가정원 2013년 4월 20일 부터 10월 까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했고 폐막후 그 박람회장을 개조하여 조성한 것이 오늘의 순천만국가정원이다. 박람회 개최 1년 후인 2014년 4월 20일 순천만국가정원이란 이름으로 개장을 시작했고 2015년 9월 5일 국가정원 1호로 지정되었다. 순천만국가정원 안내도를 들고보니 어디로 방향을 잡아야 할지 막연해진다. 학생들도 이제 막 들어왔는지 이리갈까 저리갈까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다. 과연 어디로 가는 걸까... 우측엔 장미정원인데 가림막을 쳐 놓았다. 아마 내년 국제박람회 준비 때.. 2022. 10. 13.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